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요즘은 집을 사고 팔 때나, 전.월세 계약을 체결할 때 부동산을 통하지 않고 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 개인간 계약보다는 아무래도 안전하고 확실한 부동산 계약이 낫겠죠?
제가 살고 있는 집을 전월세로 구할 때 부동산에서 5천만원인가 보험증서 같은 것을 준 기억이 납니다. 꼼꼼히 체크해야 할 부분들도 다 체크를 해 주었구요. 그리고 계약이 끝나고 나서도 집 관련된 불편한 이야기들을 부동산을 통하는 것이 훨씬 더 깔끔했습니다.
물론 부동산 입장에서는 주인편에 조금 더 가깝겠지만(제 생각;;;) 그래도 껄끄러운 이야기를 주인에게 다이렉트로 하는 것보다는 그 편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됩니다. 그리고 중간에서 중재도 잘 해주고요.
어찌되었던, 세상 모든 일에는 대가가 따라오게 마련입니다.(기껏해야 부모님의 사랑 정도만 대가가 없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? 사실 그 부분도 엄밀히 세세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무조건 없다고는 자신 있게 말 못하겠습니다.)
그 대가인 부동산 중개수수료 얼마인지 아시나요? 아신다고 하시면 틀린답입니다. 아실 수가 없죠. 거래 금액에 따라, 거래 종류에 따라, 다 다르거든요. 한 번 살펴볼까요?
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라고 검색하면
다음과 같은 화면이 제일 먼저 뜹니다.
주택, 주거용오피스텔, 주택 외 부동산에 따라
차이가 있습니다. 선택해 주시고요.
중개수수료는 특이하게 지역별로 다릅니다.
해당 지역을 찾아서 선택하시면 됩니다.
주거용오피스텔의 경우 전국공통입니다.
마지막 매매/교환인지
전세 임대차/월대 임대차인지를
선택하고
계산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.
아이쿠! 가장 중요한 거래금액을
깜빡했습니다.
임의로 한 번 넣어보겠습니다.
제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에
설정한 것은 경기도 주택 2억원 매매시
부동산 중개수수료 금액입니다.
상한요율 0.4퍼센트 적용하여
80만원 나왔습니다.
위 금액은 양쪽에서 각각 부동산에
지급해야 하는 금액입니다.
중개보수 요율표와 전체보기를 하시면
거래금액에 따른 상한요율과 한도액을
자세하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
쉽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.
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^^
'이전자료 모음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한민국 인구수 51,500,986명 남녀비율 1:1? (3) | 2015.11.01 |
---|---|
전세계 인구수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 73억 7천만명 (0) | 2015.10.28 |
자동차 벌금조회 쉽게 확인하는 방법 (0) | 2015.10.26 |
우리나라 평균키 남자 170? 여자 157? (4) | 2015.10.22 |
아파트 평수 계산 쉽게 하는 방법 (0) | 2015.10.20 |
댓글